본문 바로가기
농약이야기/농약이란

농약이란?<출처 : 농촌진흥청> -7

by 식물집사비료팔이 2023. 8. 19.
반응형

제형에 따른 분류

. 희석살포제 : 물에 희석하여 살포하는 제형은 희석배수와 살포물량을 지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살포 작업이 고되므로 살포물량을 줄이기 위해 적은 물에 고농도로 희석하는 경우가 잦은데, 이는 약효를 떨어뜨리고 약해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식물체 전체에 약액을 골고루 묻혀야 병해충 방제효과가 높아지는데, 살포물량을 줄일 경우 식물체에 약액이 묻지 않는 부분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가루 형태

- 수용제(SP), 수화제(WP)

- 수화성미분제(WF) : 미분제로 사용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제형

모래 형태

- 입상수용제(수용성입제, SG), 입상수화제(WG) : 바람에 날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루형태의 제형을 점착제를 이용하여 모래 형태로 제조

바둑알장기알 형태

- 정제상수화제(WT) : 가루형태의 제형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바둑알 크기로 제조

액체 형태

- 액제(SL), 유제(EC)

- 미탁제(ME), 유탁제(EW) : 유제 제조 시 사용되는 유기용제(solvent)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소량의 소수성 용매에 농약원제를 용해하고 유화제를 사용하여 물에 유화시켜 제조

- 액상수화제(SC) : 물에 녹지 않는 유효성분을 물에 현탁(懸濁)시킨 제형으로 사용이 편리 하나, 점성이 높아 농약 용기에 달라붙는 단점이 있음

- 캡슐현탁제(CS) : 물에 녹지 않는 유효성분을 작은 캡슐에 담은 후 캡슐을 물에 현탁(懸濁) 시킨 제형

- 분산성액제(DC) : 물에 대한 친화성이 강한 특수용매에 물에 녹지 않는 유효성분과 계면활 성제를 함께 녹여 제조

- 유현탁제SE : 물에 녹지 않는 고체상태의 유효성분과 오일상태의 유효성분을 동시에 물에 분산시킨 형태로, 액상수화제와 유탁제가 혼합되어 있는 제형

- 오일제(OL), 유상수화제(OD)

미생물제제용 제형

- 미생물을 살아 있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제형으로 고상제(GM)는 고체 형태이고, 나머지는 액체 형태(액상제(AS), 액상현탁제(SM), 유상현탁제(EB)),

. 직접살포제 : 분제, 저비산분제, 미립제 등은 벼가 출수한 논에서 주로 벼멸구를 방제하기 위하여 살포하는 것으로 동력살분기(pipe duster)를 이용한다. 동력살분기의 토출구에 다공(多孔) 비닐관을 연결한 후 기계를 작동하면 약제가 비닐관의 구멍을 통하여 벼 위로 쏟아지게 되는 원리로 단시간에 넓은 면적을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단 동력살분기로 처리할 때 비닐관을 벼의 맨 윗부분(초관 부위라고 함)에 최대한 가깝게 밀착시켜야 한다. 그러나 강한 압력으로 약제를 밀어내기 때문에 비닐관의 중간 부분이 공중으로 50이상 치솟게 되어 방제효율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며(1-4), 비닐관 중간 중간(3-5m 간격)에 추(돌멩이 등)를 달아서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그림 1-26). 입제는 마른 모래와 섞은 후 뿌리면 양을 조절하기 쉽다.

가루 형태

- 미립제(MG), 분의제(DS), 분제(DP),

- 저비산분제(DL) : 분제 사용 시 발생하는 표류비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분제보다 입자의 크기를 증가시킨 제형

- 미분제(GP), : 시설재배지에서는 표류비산이 오히려 약제처리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분제보다 입자의 크기를 감소시킨 제형

- 종자처리수화제(WS): 침종 후 어느 정도 물기를 뺀 벼 종자에 약제를 가한 다음 잘 버무려 골고루 분의(습분의, 젖은 종자 분의)하며, 필요 시 약간의 물을 첨가할 수 있음

모래 형태

- 세립제(FG) : 입제보다 입자 크기를 줄인 제형으로 적은 양의 유효성분을 골고루 뿌리기 위함

- 입제(GR)

바둑알장기알 형태

- 대립제(GG) : 논둑에서 논안으로 던져 넣거나, 무인헬기를 이용한 항공방제가 가능한 제형

- 수면부상성입제(UG) : 제초제 전용인 제형으로 담수된 논에 살포하면 큰 비중으로 인하여 일단 가라앉은 후, 증량제가 물에 용해됨에 따라 비중이 감소되어 수면으로 떠오른 다음 확산제에 의하여 유효성분이 수면 전체로 확산됨

- 직접살포정제(DT) : 제초제 전용인 제형으로 논둑에서 논안으로 던져 넣어 살포작업을 마칠 - 캡슐제(CG)

액체 형태

- 수면전개제(SO) : 담수된 논에 일정한 간격으로 약제를 부으면 빠르게 확산되어 전체 수면에 처리층을 형성

- 종자처리액상수화제(FS) : 종자처리수화제를 액상수화제화 한 것으로 원액 또는 희석해서 사용하며, 젖은 종자 및 마른 종자에 모두 사용 가능

- 직접살포액제(AL) : 유효성분을 물에 현탁시킨 후 일정농도로 희석하여 분무기에 담아 상품화 한 것으로 일반 가정에서 희석할 필요 없이 사용 가능하게 제조

특수 형태 (특수 제형)

- 훈연제 및 훈증제 : 주로 시설재배지에서 사용하는 훈연제나 훈증제는 해가 진후에 처리하고 다음 날 아침 일찍 반드시 통풍을 실시하여야 한다. 그 이유는 오전에 해가 뜬 후 작물 잎의 기공이 열리면 공기 중에 남아있는 농약성분이 작물체내로 들어가 약해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 도포제(PA) : 식물체의 상처부위를 깎아 내고 그 위에 바르는 제형으로 사과나무의 부란병 치료제가 있

- 연무제(AE) : 사과나무의 부란병 치료제로 식물체의 상처부위를 깎아 내고 그 위에 분무하는 제형(aerosol)

- 과립훈연제(FW), 훈연제(FU) : 약제에 열을 가하여 유효성분을 기체화시키는 제형

- 마이크로캡슐훈증제(VP), 훈증제(GA) : 용기의 뚜껑을 열면 증기압이 높은 유효성분이 서서히 기체화되는 제형

- 판상줄제(SF) : 약제를 노란색 리본 형태의 합성수지에 흡착시킨 것으로, 작물 상단부 1020위에 길게 옆으로 설치하면 색에 유인된 해충이 유효성분과 접촉하여 죽게 됨

- 비닐멀칭제(P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