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약이야기/농약이란

농약 작용기작 표시 기준<출처 : 농촌진흥청> -3

by 식물집사비료팔이 2023. 8. 19.
반응형

. 제초제

작용점 및 작용점 도달

- 제초제의 작용점은 특정한 작용점 하나로 고정된 경우도 있으나, 둘 이상의 작용점을 갖는 경우도 많으며, 사용방법에 따라 작용점이 변하기도 한다.

- 대체로 광합성 저해, 호흡 저해, 호르몬 작용 저해, 생체 내 생합성 저해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작용점 도달

- 제초제는 식물체의 뿌리, , 줄기 및 어린 싹을 통하여 흡수된다.

- 식물의 잎은 바깥의 표피가 wax로 되어 있고 그 내측에 cutin, pectin cellulose의 순으로 배열되어 있어 내부로 갈수록 극성이 높아지며, 투과 시 제초제의 극성 정도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 뿌리를 통한 흡수는 apoplast, symplast apo-symplast3가지 경로를 통해 일어난다.

- apoplast 경로는 제초제가 casparin strip(뿌리의 불투수층)을 통해서 물관부로 이동

- symplast 경로는 세포벽 투과 후 원형질연락사(plasmodesmata)에 의해 체관부로 이동

- 여러 경로를 통하여 식물체 내로 흡수된 제초제는 apoplast, symplast, 세포간극을 통하여 식물체 각 부위로 이동하여 작용점에 도달한다.

작용기작 구분 표시기호 세부 작용기작 및 계통(성분)
지질(지방산)생합성저해 A 아세틸 CoA 카르복실화 효소 저해
N 그밖의 지질 생합성 저해
아미노산 생합성 저해 B 분지 아미노산 생합성 저해
G 방향족 아미노산 생합성 저해
H 글루타민 합성효소 저해
광합성 저해 C1 광화학계 저해(트리아진, 트리아지논, 트리아졸리논, 우라실, 피리다지논, 페닐-카바메이트계)
C2 광화학계 저해(요소, 아미드계)
C3 광화학계 저해(니트릴, 벤조티아디아지논, 페닐-피리다진계)
D 광화학계저해(비피리딜리움계)
색소 생합성저해 E 엽록소 생합성 저해
F1 카로티노이드 생합성 저해(PDS)
F2 카로티노이드 생합성 저해(HPPD)
F3 카로티노이드 생합성 저해 (불명확)
엽산 생합성 저해 I 엽산 생합성 저해(아슐람)
세포분열 저해 K1 미소관 조합 저해
K2 유사분열/미소관 형성 저해
K3 장쇄 지방산 합성저해
세포벽 합성저해 L 세포벽(셀룰로오스) 합성저해
에너지 대사 저해 M 막파괴
옥신작용저해·
교란
O 인돌아세트산 유사작용
P 옥신이동 저해
작용기작 불명 미분류 기타